본문 바로가기

심리학27

아동기 및 청소년기 장애 아동기 및 청소년기 장애는 생의 초반기부터 아동과 청소년 시기에 주로 발병하는 장애들로 구성되어 있다. DSM-5의 범주 가운데 신경 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에 속하는 몇몇 장애들과 정서 또는 행동의 문제를 보이는 장애들이 포함되었다. 여기서 신경 발달장애는 심리·사회적 요인보다 중추신경계인 두뇌 발달의 지연이나 손상 등 주로 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장애라는 의미(신경)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한다는 의미(발달)가 내포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언급된 장애들은 반드시 아동 및 청소년에게만 나타난다기보다 발병 소지가 이 시기에 더 많다는 뜻이며 해당 증상이나 장애는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먼저 정서나 행동의 문제를 보이는 장애 중에서 분리불안장애와 적대.. 2025. 4. 22.
편집성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장애는 A군에 속하며 타인을 잘 믿지 않고 의심하는 것이 특징이다. 친구나 동료가 자신에 가 잘 대해주면 오히려 신뢰하지 않고, 충분한 근거가 없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자신을 속이고 착취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사귀는 사람이나 배우자가 바람을 피운다고 의심한다. 이러한 의심으로 인해 타인의 말이나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건에서 자신을 비하하고 위협하는 숨은 의도를 찾으려 하며 자신의 속마음이나 비밀을 털어놓으면 언젠가 악의적으로 이용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여 신상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을 꺼린다. 그리고 타인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인격이나 명예가 공격받았다고 생각하면 분노를 표출하고 그 원한이나 앙심을 쉽게 풀지 않는다. 한편, 일을 할 때 다른 사람의 실수나 약점을 파고들어 비판을 자주 하고 무.. 2025. 4. 22.
조현병의 원인 조현병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오래전부터 있어 왔고 특정 분야에서는 상당한 성과가 축적되었지만, 아직까지 그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다. 조현병의 증상이 여러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때, 다양한 요인이 이 장애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해 살펴보겠다. 생물학적 요인은 생화학적 측면과 유전적 측면으로 나뉜다. 생화학적 측면에서 신경전달물질은 조현병 증상이 나타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도파민 가설이 있다. 조현병 환자가 사망한 후 뇌를 해부하여 연구한 결과 조현병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 도파민 수용기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는데 뇌에 도파민 활동이 과다해지면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양성 증상이.. 2025. 4. 18.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는 자신의 현재 경험이 실제로 현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지 못하고 왜곡하여, 망상 사고(언어), 심하게 혼란된 또는 긴장증적 행동 특징을 보인다. 이 장애는 위에서 언급한 심리 장애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증상을 경험하는데, 특히 망상과 환각은 현실에서 실재하는 경험인지 판단하지 못하여 현 실시간 검색 능력이 손상된 증상에 해당한다. 이 장애는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타난다는 관점에서 스펙트럼이란 용어를 쓰며, 심각도가 낮은 것에서 높은 순서로 조현형 성격장애 및 조현정동장애 등이 있다. 여기서는 가장 대표적인 조현병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과거에 조현병이라..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