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 행복과 돈의 상관관계 외적 요인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행복의 선행 요건 즉, 행복해지기 위해서 충족해야 할 요인 중 상당 부분은 돈 등 외적 요인이다. 그러나 환경적 요인이 생각만큼 행복을 잘 예측하지 못한다는 실증적 연구 결과들이 있다. 한국인의 행복 또한 외적 조건보다는 개인의 내적 특성에 의해 더 잘 예측되었다. 돈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돈과 행복의 관계는 단순하지 않다. 대규모 조사 결과, 한 국가 내에서 돈이 행복을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맞지만 그 예측의 강도는 매우 작다. 돈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에 대한 통제감이나 낙관적 시각 등 심리적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돈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더 행복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 2023. 10. 8. 행복의 예측 요인-성격 성격 개인의 행복 기저선에 대한 유전의 영향은 성격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정보가 성격 특질에 영향을 미치고 성격이 행복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전적 영향이 행복에까지 미친다. 행복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성격적 특성은 외향성과 신경증이다. 긍정 정서는 외향성과는 강한 정적 상관 관계를 갖지만 부정 정서나 신경증과는 상관을 갖지 않는다. 반대로 부정 정서는 신경증과는 강한 정적 상관 관계를 맺지만 긍정 정서나 외향성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는다. 특히 외향성과 긍정적 정서 경험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정적 상관 관계는 확고한 연구 결과 중 하나이다. 외향적인 사람들 즉, 친근하며 사교적이고 주도적이며 활동적이고 자극 추구 성향이 강한 쾌활한 사람들이 조용하고 차분한 내향적인 사람들에 비해 긍정적 정서를 더.. 2023. 10. 7. 정신건강과 행복 행복의 예측 요인 행복의 조건 즉, 행복을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학생들에게 자기 행복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질문하면, 가장 많이 나오는 답변이 주로 돈 즉, 물질적 풍요이다. 이처럼 사람들이 가장 직관적으로 떠올리는 행복의 선행요건은 성별, 수입 등의 객관적 조건이다. 그런데 정말로 객관적 조건이 행복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일까? 실제 돈 등 개인의 객관적 조건은 그 사람의 행복을 예측하는 데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아, 행복의 총 변량 중 10%정도 밖에 설명하지 못한다. 행복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은 유전적으로 정해지는 행복의 기저선으로, 행복의 전체 변량 중 약 50%를 예측한다. 나머지 40% 정도는 의도적 활동이 설명한다. 행복을 예측하는 이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보겠다. 행복의 기저.. 2023. 10. 6. 행복에 대한 심리학 연구 행복에 대한 심리학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이후이며, 1984년에 '주관적 안녕감'이라는 논문은 행복이 심리학 연구의 주제로 전면에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에는 행복 연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심리학자들 사이에 공감이 이루어지며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행복에 관하여 전 세계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집대성해 놓은 '세계 행복 데이터베이스'에는 2018년 현재 전 세계에서 이루어진 행복 관련 연구 12,061편의 출판물 정보가 담겨 있다. 행복과 불행의 독립성 심리학자들이 행복에 대해 오랜 기간 특별한 관심을 가지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불행의 반대가 곧 행복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파악해서 없애면 저절로 행복해질 것이기 때문에 행복에 대한 연구가 따로 필요하지 .. 2023. 10. 5.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